-
목차
반응형“계약서 사인하기 전에, 진짜 이것만은 꼭 보세요!”
자취를 처음 시작하는 대학생이나 사회 초년생에게
‘부동산 계약서’는 가장 어렵고 낯선 문서일 수 있어요.
중개사무소에서 종이 한 장을 내밀고,
“여기 도장 찍으시면 돼요~” 하는 순간…
뭔가 찜찜하지만, 뭘 물어봐야 할지도 모르겠는 경우 많으시죠?이 글에서는
✔️ 부동산 계약서 작성 전에 확인해야 할 항목
✔️ 실제 계약 당일에 체크할 리스트
✔️ 초보자들이 자주 실수하는 포인트까지
쉽고, 실용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!📄 계약 전 반드시 알아야 할 ‘기본 용어’ 3가지
먼저, 계약서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부터 간단하게 정리할게요.
1. 임대인 / 임차인
- 임대인 = 집주인
- 임차인 = 계약하고 들어가는 나 (= 세입자)
2. 보증금 & 월세
- 보증금: 계약할 때 일시불로 내는 금액 (퇴실 시 대부분 반환)
- 월세: 매달 정해진 날짜에 내는 임대료
3. 계약금 / 중도금 / 잔금
- 계약금: 계약 체결 시 납부하는 금액
- 중도금: 계약 기간 중간에 추가 납부하는 경우
- 잔금: 입주 직전 남은 금액 전부 납부
이 3가지 정도만 이해해도, 계약서 읽는 데 부담이 확 줄어요!
⚠️ 부동산 계약서 쓸 때 꼭 확인할 7가지 항목
① 등기부등본으로 집주인 정보 확인
→ 계약 상대가 실제 집주인인지 꼭 확인하세요!
→ ‘대리인’과 계약할 땐 위임장 확인 필수② 주소와 호수 정확하게 적혀 있는지
→ 층수, 동호수 하나만 틀려도 법적 보호 못 받는 상황 발생할 수 있어요.
③ 계약금/보증금/월세 금액과 납부일 명시
→ 숫자는 글자와 숫자 동시에 적기 (“삼백만원(₩3,000,000)”처럼)
④ 전입신고/확정일자 가능한지
→ 보증금 보호를 위한 핵심이에요.
→ 반드시 전입신고 가능한지 중개인에게 확인!⑤ 관리비 항목 명확히 구분
→ 포함 항목(전기, 수도, 인터넷 등)과 별도 항목 구분 필요
→ “관리비 포함”이라고 해놓고 나중에 인터넷 따로, 수도 따로 청구하는 경우도 있어요⑥ 계약 기간과 중도해지 조건
→ 1년 계약인지, 2년 계약인지
→ 중도해지 시 위약금은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⑦ 특약사항 작성 여부
→ 입주 전 수리 약속, 집기 제공 등은 꼭 특약란에 명시해야 효력 발생
📌 참고: 특약은 말로 하는 게 아니라, 계약서에 적고 도장까지 받아야 법적 효력이 있어요!
🧾 계약 당일 체크리스트 (자취 초보 필수!)
✅ 등기부등본 출력해오기 (정부24 무료 발급)
✅ 신분증, 인감도장 준비
✅ 계약서 2부 → 양측 서명 후 각 1부씩 보관
✅ 계좌이체 내역 캡처 or 현금영수증 받기
✅ 입주 전 하자 확인 (문, 수도, 전기, 가스 점검)
✅ 계약금/보증금 입금 타이밍 체크 (계약 → 잔금 순)💬 자주 나오는 질문 정리
Q. 계약서에 도장 안 찍으면 효력 없나요?
→ 도장 없어도 서명만 해도 효력 발생. 하지만 도장 찍는 게 안전해요.Q. 계약금만 주고 계약서 없이 말로 약속해도 되나요?
→ 절대 금지! 말로 한 건 증거도 없고, 분쟁 시 보호받기 어렵습니다.Q. 계약서에 있는 내용을 바꾸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?
→ 해당 항목 줄 긋고, 수정사항 옆에 양측 서명+날인 추가하면 됨🧠 부동산 계약, 어렵지 않습니다.
아는 만큼 안전해지고, 준비하는 만큼 돈을 아낄 수 있어요.
계약서 쓸 때 이 글에 있는 체크리스트만 잘 챙겨도
불이익 없이, 안정적으로 내 방을 계약할 수 있어요.혹시라도 계약 당일 긴장되신다면,
이 글을 출력하거나 캡처해서 가셔도 좋아요.
당당하게, 꼼꼼하게 계약하세요! 🙌반응형'부동산&자산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🏠 자취방 고를 때 꼭 체크해야 할 5가지!- 역세권보다 중요한 것들 (0) 2025.04.23 🏠 전세 보증금 지키는 법!- 깡통전세 방지하는 전세금 반환보증 완벽 안내 (0) 2025.04.22 🏠 월세 vs 전세, 어떤 게 나을까?- 초보 자취러를 위한 현실 비교 가이드 (0) 2025.04.21 🇺🇸 미국 부동산 투자로 달러 수익 얻는 법! 실전 가이드 (0) 2025.04.16 🏢 월세 수익률 높은 상가 찾는 법, 진짜 실전 전략 대공개! (0) 2025.04.16